목차
오륙도선 트램 타당성 재조사 탈락…사업 좌초 위기
부산 남구의 오륙도 트램 건설사업이 정부의 타당성 재조사에서 통과하지 못해 사실상 중단 위기에 처했다. 이번 결정은 사업의 향후 진행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부산항선과 통합하여 대체 방안을 모색할 가능성이 높다.
B/C 0.39, AHP 0.418…경제성·정책성 모두 미달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서 최근 발표한 부산도시철도 오륙도선 건설사업에 대한 타당성 재조사 결과가 주목받고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비용 대비 편익 비율(B/C)은 0.39로 나타났으며, 정책적 타당성 종합평가(AHP)는 0.418로 집계되었다.
일반적으로 B/C가 0.7를 초과해야 사업 진행이 가능하다고 여겨지지만, 오륙도선은 이 기준치를 크게 하회하며 경제성과 정책적 측면에서 모두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사업비는 원래 912억 원에서 1,057억 원으로 증가했지만, 예상되는 교통 체계 개선 효과는 미미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부산 지역의 교통 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분과위 평가 “교통개선 효과 미미…혼잡 가중 우려”
타당성 재조사에 대한 분과위원회의 전반적인 의견에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 이번 사업은 무가선 트램의 실증을 위한 연구개발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실제 교통 개선 효과는 미미하다는 견해가 많았다.
특히 트램이 설치될 구간의 도로 환경이 좋지 않아, 설치 이후 도로 혼잡이 심화될 가능성도 존재한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별도의 대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사업 추진 경과와 대안 논의
오륙도 트램 프로젝트는 2019년 부산시가 국토교통부의 실증노선 공모에서 선정되며 시작된 사업이다. 이 노선은 대연동 용소삼거리에서 용호동 이기대어귀삼거리까지 약 1.9km의 구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친환경 저상 트램을 도입할 계획이 있었다.
그러나 공사비가 최초 예상했던 470억 원에서 906억 원으로 급증하면서,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비타당성 재조사 대상이 되었다. 결국 이번 조사의 결과로 탈락하게 되었다.
이에 부산시와 남구청은 대안 마련에 나설 예정이다. 그중 하나로 '우암·감만선'과 오륙도선을 통합하는 새로운 도시철도망 계획이 제안되었다. 이는 국토부의 실증노선 사업이 무산되더라도 부산시의 도시철도망 계획 내에서 재추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많은 이목을 끌고 있다.
결론
오륙도 트램 프로젝트는 경제성과 정책적 측면에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타당성 재조사에서 제외됐다.
이로 인해 기존의 국토부 실증사업 방식으로는 추진이 사실상 불가능해졌으며, 부산시는 대신 도시철도망 통합노선 검토를 시작했다.
앞으로 이 사업의 향방은 지방정부의 전략적 대응과 중앙정부의 정책 방향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부산트램, #오륙도트램, #오륙도선, #부산도시철도, #부산남구, #대연동, #용호동, #이기대, #국토교통부, #타당성조사, #예비타당성조사, #트램사업, #부산교통계획, #우암감만선, #도시철도망계획, #트램실증노선, #부산시정, #남구청, #교통혼잡, #교통정책, #BCR분석, #AHP분석, #트램경제성, #친환경교통, #트램실패, #부산교통문제, #KDI조사, #사업무산, #재추진가능성, #교통인프라